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들13

[BMK] 웨딩홀 투어 후기 날씨가 좋던 3월 어느날내년 결혼예식장을 예약하기 위해웨딩홀 투어를 하였다! 우린 이미 마음속에 정해둔가장 예쁘다고 생각했던 웨딩홀BMK웨딩홀을 방문했다! 차가 조금 막혔지만 약속시간에 맞춰 도착했다.주차장 걱정이 조금 있었는데 주차하면서 보니 자리도 많고,안내해주시는 분들도 많아서 주차하기도 편했고상담 끝나고 나오는 길에 보니 주차요원분들이 더 많아져서피크타임때도 주차가 편할것같다.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웨딩홀 투어를 시작했다!우리는 하모니볼룸을 보고 있었지만 4층도 함께 둘러봤다. 4층 로비부터 깔끔하고 예뻤다.다른 웨딩홀 투어를 가보면 로비가 작아서 사람이 너무 붐비는 경우가 있는데 BMK는 로비가 넓고 트여있어서 사람이 붐비지 않아서 좋았다.신부대기실에는 사진 촬영중인 신부님이 있어서 사진을 .. 2025. 4. 20.
배터리(전고체 배터리)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질을 사용하여 전기를 흐르게 하는 것을 2차전지(충전해서 반영구적 사용가능)라 한다. 이에 2차전지로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고 전해질이 가연성 액체여서 고열에 취약하다.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배터리가 이번에 말할 전고체 배터리이다. 기본개념 전고체 배터리의 원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유사하다. 양극과 음극, 분리막, 전해질 4가지로 구성된 리튬이온 배터리와 똑같다. 다만, 액체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이 대체하며, 이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 역할까지 대신하는 배터리이다. 장점 - 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는 양극의 두께가 한정된다. 두껍게 만들 경우, 그 내부로 액체 상태인 전해액이 침투를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진다. 하지만.. 2023. 12. 17.
3차전지(연료 전지) 건전지와 같이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를 "1차 전지"라 하고, 충전,방전을 반복하여 쓰며 리튬이온배터리와 같은 것을 "2차 전지"로 불려진다. 이번에 말할 "3차 전지"는 앞의 배터리와는 달리 연료를 지속적으로 주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전지는 산화전극에서는 주입된 연료의 산화가 발생하고, 환원전극에서는 산소의 환원이 일어나는데, 이때 반응을 통해 방출되는 에너지가 전기의 형태로 발현하고 외부에서 활용된다. 연료 전지 역사 - 수소 연료 전지는 1838년 웨일스의 물리학자가 원유연료 전지의 개발에 쓴 편지에서 언급되 었다. 철판, 구리, 도자기 판의 조합과 구리와 황산염 용액을 사용했다고한다. 이를 1839년에 독일 물리학자가 최초의 원유 연료 전지에 대해서 논의한 편지에서 언급되었다.그의 디자.. 2023. 12. 9.
2차전지(ESS) 2차전지 배터리 관련 자동차용 배터리 관련으로 이것저것 적어보았는데 이번에는 ESS(Energy Management System)로 적어보려고한다. ESS란? -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꺼낼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 장치는 신재생 에너지사업에 굉장히 도움이 되는데, 태양광, 풍력등 원하는 시간에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신재생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대에 사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 또한, 대규모 정전 상태인 블랙아웃이 됐을 때, ESS로 미리 충전해 둔 에너지를 사용하면 일상생활에 큰 문제없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입배경 ESS 설치 의무화 - 계약전력 1천kW이상의 공공기관은 '17년부터 계약전력 5%이상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 2023.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