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들12

2차전지(전극공정, 조립공정, 활성화공정, 팩공정) 배터리 제조는 전극공정 -> 조립공정 -> 활성화 공정 -> 팩 공정으로 크게 4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공정: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 공정 조립공정: 전극공정을 통해 양극판과 음극판이 완성되면 배터리에 분리막과 전해질까지 모아 조립하는 공정 활성화 공정: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 특성을 만들어 주는 공정. 에이징과 충, 방전을 반복한다. 팩 공정: 제조된 배터리 셀들을 최종 납품 전, 모듈화하여 pack에 넣는 과정 . . . 우선 전극공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극공정은 크게 5가지(믹싱공정, 코팅공정, 롤 프레싱 공정, 슬리팅 공정, 노칭공정)로 구성된다. 이 전극공정은 2차전지 투자의 약 30%금액을 차지한다. 믹싱공정(Mixing) - 믹싱 공정은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데 각종 .. 2023. 11. 26.
배터리의 역사 오늘은 2차전지 이전의 배터리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다 1700년대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의 생물학 교수였던 루이지 갈바니가 개구리를 해부하다 황동 철사를 개구리에 댔더는 꿈틀거리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그는 개구리 다리에 전기가 흘러 근육이 움직인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연구하면서 그는 이 에너지를 동물전기라 명칭하였다. 이를 1800년대이르러서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가 동물전기에 흥미를 갖고 여러 실험을 통해 동물전기의 오류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전기가 생성되는 원리를 발견하여, 화학 반응을 통해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그 유명한 볼타(Volta) 배터리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 볼타배터리는 구리와 아연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소금물(전해질)에 적신 천이나 판지 .. 2023. 11. 20.
2차전지 소재(전해액) 2차전지는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양극재, 전해액, 분리막, 음극재 이다. 그중 오늘은 전해액에 대해서 알아보자.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이 있다. 양극의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가 충전되며, 그 반대로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이동하면 배터리가 방전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전해액은 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는 리튬이온이 원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이다. 전해액 역할 -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는 리튬이온(Li+)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위 이온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이 전해액이 하게 된다. 따라서 위 전해액은 이온전도도가 높아야하며, 전기가 잘통하기 떄문에 화재가 급속도로 번질수가 있다. 따라서 안정성이 우수해야 하고, 발화점이 높은 특성.. 2023. 11. 19.
2차전지 소재(분리막) 2차전지는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양극재, 전해액, 분리막, 음극재 이다. 그중 오늘은 분리막에 대해서 알아보자.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이 있다. 양극의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가 충전되며, 그 반대로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이동하면 배터리가 방전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분리막은 전극을 분리해 합선을 방지를 통해 배터리의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리튬 이온만 통과시켜 전류를 발생시키는 중요 요소이다. 분리막 역할 분리막은 절연 소재를 얇은 막형태로 가공하여,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하고 있다. 2번째 역할은, 분리막에는 미세한 기공(pore)을 가지고 있어, 이 기공을 통해 리튬이온들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23. 11. 19.